• 수리조선업체

공지사항

"코로나 이후, 수리조선소 등 인프라 확충해 '원스톱부산항' 만들어야"-일간리더스경제신문(6/26)

작성자
KSRIC
작성일
2020-06-26 10:00
조회
1001


김종태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25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위기극복 부산 해운항만업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홍윤 기자.


부산 지역 해운·항만업계가 코로나19 이후 부산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수리조선소와 동남권신공항 등 관련 인프라 확보에 부산시 등이 적극 나서줄 것을 주문했다.

부산시는 25일 시청에서 ‘코로나19 위기극복 부산 해운항만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업계관계자들은 “선박 1척이 들어오면 60~70개 산업에 파급효과가 있다”면서 선박수리·선원교대·컨테이너 야적 등과 관련한 인프라 확축으로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한 부산항으로 경쟁력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수리조선’을 위한 인프라 확보는 가장 큰 화두로 떠올랐다.

김귀동 한국선박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현재 부산 수리조선업계 70%가 러시아 선박 수리로 먹고산다”면서 “최근 코로나19로 이 러시아 선박이 들어오지 않는데다 러시아가 자국에서 수리가 가능하도록 올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이사장은 “러시아 선박들이 자국 수리에 성공하면 산업공황이 우려될 정도로 물량이 안 들어올 수 있고 코로나 이후 러시아 선박이 수리 차 부산항에 들어온다고 해도 수리조선소가 부족하다”면서 관련 인프라 구축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배를 도크에서 수리하는 비용이 쓰는 게 가격일 정도로 너무 높아 중국이나 베트남으로 수요가 빠져나가는 것이 우려된다”면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다 위에서 배를 수리할 수 있는 수리선박을 위한 접안부두 확보를 제안했다.

또 김귀동 이사장은 “선박수리시 녹산·사상 등에서 생산되는 기자재를 많이 사용하는 등 선박수리가 부산항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국가 차원의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다시 한번 관련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영식 한국선주협회 부산지부장도 “수리조선업체를 이용하는 선주 입장에서도 수리조선소가 꼭 필요하다”면서 “선박이 기항지를 정할 때 수리, 선용품 공급 등 관련 서비스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데 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수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성동조선이나 현대미포조선 등이 조선경기가 호황일 때 모두 건조로 돌아서 3만톤 이상 국제여객선을 수리할 수 있는 수리조선소가 마땅치 않아 중국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보다 인건비가 더 높은 일본이나 싱가포르도 수리조선을 하고 있는 만큼 ‘의지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박수복 부산수리조선 회장은 “선박수리를 위한 기술 경쟁력도 충분하고 싱가포르에 비해 부품조달에도 강점이 있다”면서 “궁극적으로 부산항의 경쟁력이 제고돼야하고 자동화 등을 통한 원가절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리조선 관련 인프라 외에도 신공항이나 컨테이너 야적장 등의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종태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K방역 덕에 국내선원에 대한 호감도가 커진 만큼 포스트코로나에 대한 기대가 크다”면서 “부산항이 허브포트로 지속 발전해 외국선사들이 부산항에서 많이 체류하게 되면 부산업체를 많이 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부회장은 허브포트로 발전을 위해 “동남권신공항 등으로 국제공항이 발달해 선원교대 허브가 되면 항만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영식 한국선주협회 부산지부장은 “신선대 뒤편 북항 철도부지를 비롯해 항만 컨테이너 장치장이 계속 비어 있다”면서 “철도 레일만 걷어내고 야적장으로 사용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검역강화를 위해 시스템 개선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장연심 장금상선 부산사무소장은 “인공지능(AI)가 코로나19 사태에서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며 일선 선원들이 검역과 관련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어 스마트 검역시스템 구축 등 시스템 개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선박유류공급, 화물고정 등 기타 항만 관련산업에 대한 해운사에 대한 요율, 임금, 다양한 지원책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최만기 부산항만산업협회장은 “항만 연관 산업이 대부분 9인 이하 규모로 영세해 해운사에 대한 요율 협상력이 떨어지는 반면 인건비는 많이 올라갔다”면서 “선사에 요율로 인건비 인상분이 일부 전가돼야 하지만 컨테이너 수리 등은 20년째 요율에 변화가 없는 실정”이라 밝혔다.

이에 따라 최 회장은 “최저임금 동결이나 업종별 차등적용, 항만사용료 인하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5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위기극복 부산해운항만업계 간담회’ 모습. 홍윤 기자.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선박유류 공급, 화물고정업, 컨테이너 수리 등 항만용역업은 현재 다른 항만관련 산업과는 달리 요금 및 요율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시장에 맡기고 있다”면서 “항만서비스에 폐해로 작용한다면 신고제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황영식 지부장은 “비상상황이면 비상상황에 맞게 대응할 필요가 있는데 부산항만공사 등이 돈이 있어도 함부로 쓸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부산시가 기획재정부 등에 건의해 환적화물 인센티브 등 연말까지 재정을 과감히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간담회는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라 항만 물동량이 감소하는 등 해운항만업계 전반으로 충격이 본격화되고 있어, 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을 수렴하고 규제개선 등을 통한 조기회복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박성훈 경제부시장의 주재로 열렸다.

홍윤 기자 forester87@leaders.kr

출처 : 일간리더스경제신문(http://leaders.asiae.co.kr)